대 제 사 장 | 제 사 장 | |
1 | 흉패, 에봇, 겉옷, 반포 속옷, 관, 띠 등을 입고 사역함 (출 28:4, 29:5) | 속옷, 관, 띠 등 만 입고 사역함 (출 28:40, 29:8, 9) |
2 | 관유를 머리에 부음 받음 (출 29:7, fp 8:12) | 대제사장과 함께 관유와 피를 그들 자신과 옷에 뿌림 받음 (레 8:30) |
3 | 1년에 한 번씩 대 속죄일에 지성소에 들어가 자신과 자신의 가족 및 백성들을 위해 속죄함 (레16:1~34) | |
4 | 골육지친은 물론 부모의 시체로도 몸을 더럽힐 수 없음 (레 21:11.12) | 골육지친, 부모 등의 시체에는 가까이 갈 수 있음 (레 21:2,3) |
5 | 과부, 이혼 당한 여인, 더러운 여인, 기생 등을 아내로 취할 수 없고 이스라엘 중 처녀를 취함(레21:13,14 | 기생, 부정한 여인, 이혼 당한 여인을 아내로 취하지 못함 (레 21:7) |
6 | 회막 안의 등잔불을 정리(간검)함 (레 24:,4) | |
7 | 아침마다 분향단의 향을 사름 (출 30:7,8) | |
8 | 매안식일마다 진설병 상에 떡을 진설함 (레 24:8) | |
9 | 이스라엘 자손의 수를 계수함 (민 1:1~4) | |
10 | 레위인의 성결 의식을 집전함 (민 8:11~14) | |
11 | 지도자를 위해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보여줌 (민 27:18~21) | |
12 | 왕에게 위임 기름을 부음 (왕상 1:34) |
대제사장의 직무

![]() |
![]() |
1. 고의 linen breeches, 미크나스 출 28:42, 39:28, 레 6:10, 16:4 제사장의 예복 중에 살에 가장 가까운 데 입는 옷으로, 대제사장의 하체를 가리기 위해 입는다. 가는 베실로 짠 세마포로 된 속바지로, 길이는 허리에서부터 넓적다리까지 이르게 하였다. 우리나라의 ‘고쟁이’에 가깝다. |
2. 속옷 tunic, 케토네트 출 28:39-40, 29:5, 8, 39:27, 레 6:10, 8:7, 13 겉옷 안에 살에 닿게 입는 통으로 된 옷으로, 소매는 손목까지 내려오며 길이는 발뒷꿈치까지 내려온다. 가는 베실로 만들었다. |
![]() |
![]() |
3. (속옷) 띠 sash, 아브네트 출 28:39, 39:29, 레 8:7, 13 위에서 아래까지 통으로 짜인 속옷은 매우 헐렁하기 때문에 제사장 직무를 수행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띠를 띤다. 가는 베실과 청색, 자색, 홍색실로 수놓아 만들었으며, 가슴에서 한 바퀴 돌려서 묶고 발목까지 길게 늘어지게 했다. |
4. 에봇 받침 겉옷 the robe of the ephod, 메일 하에포드 출 28:31-35, 29:5, 39:22-26, 레 8:7 하얀 속옷 위에 입는 에봇 받침 겉옷은 청색 실로 짜인 통옷으로 옷 전체가 청색이다. 두 어깨 사이에 머리 들어갈 구멍을 내고, 목테두리로 돌아가면서 깃을 짜서 입고 벗을 때 해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했다. 겉옷의 가장자리에는 청색, 자색, 홍색 실로 석류를 수놓아 만들고 정금으로 방울을 만들어, 석류 사이사이에 금방울을 일정한 간격으로 달도록 했다. |
5. 관
일반 제사장이 쓰는 관과 대제사장의 관은 모두 가는 베실로 만들지만 형태가 다르다.
![]() |
![]() |
![]() |
① 일반 제사장의 관 미그바아 출 28:40, 29:9, 39:28, 레 8:13 산처럼 위쪽이 불룩하게 솟아 있는 모양의 관이다. |
② 대제사장의 관 미츠네페트 출 28:39-40, 29:6, 39:28, 레 8:9, 슥 3:5 터번 형태로 빙빙 돌려가며 짜서 꿰맨 두건(turban) 모양이었다. |
또한 금으로 만들고 “여호와께 성결”이라고 쓴 패를 청색 끈으로 관 앞에 매었다. |
![]() |
![]() |
![]() |
6. 에봇 ephod, 에봇 출 28:6-14, 29:5, 39:2-7, 레 8:7 대제사장이 그 직분을 행할 때 입는 거룩한 옷 중의 하나로, 에봇 받침 겉옷 위에 입는다. 소매가 없이 무릎까지 내려오는 앞치마 같은 모양의 옷이다. 금실과 청색, 자색, 홍색실 및 가늘게 꼰 베실로 정교하게 짜서 만들었다. 앞판과 뒷판이 견대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, 어깨 견대에는 호마노 두 개가 각각 붙어 있다. |
7. 에봇 띠 skillfully woven band of ephod, 헤쉐브 아푸다 출 28:8, 29:5, 39:5, 레 8:7 에봇 위에 매는 띠로, 허리에 감아 앞에서 묶게 되어 있다. 가는 베실, 금실, 청색, 자색, 홍색실로 짠다. |
8. 판결 흉패 breastpiece of judgement, 호쉔 미쉬파트 출 28:15-30, 29:5, 39:8-21, 레 8:8 에봇 위의 가슴 부분에 붙이는 큰 패를 가리킨다. 흉패는 가로 세로가 한 뼘 길이(반 규빗, 약 22.5cm)이의 네모 반듯한 형태로 금실, 청색, 자색, 홍색실, 가늘게 꼰 베실로 만들었고, 두 겹이었다. 한 겹에는 12지파를 상징하는 12개의 보석을 달고, 다른 한 겹에는 우림과 둠밈을 넣었다. 흉패 위쪽은 금사슬에 매어 대제사장의 어깨의 두 견대에 붙어있는 호마노 금테에 고정시키고, 아래쪽은 청색 끈으로 대제사장의 에봇 허리띠에 매어 에봇에서 떨어지지 않게 했다. |
‘빛’, ‘완전함’이란 뜻을 지닌 우림과 둠밈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의 뜻을 묻기 위해 사용한 도구였다(출 28:30).
우림과 둠밈의 모양, 재료 등은 분명하지 않으나 제사장이 판결의 흉패에 넣고 다닌 것으로 보아(레 8:8)
돌이나 보석이 일종으로 추측된다.
보통은 하나님의 뜻을 ‘Yes'나 'No'로 묻는 단순한 문제에 사용되었다.
이것은 제사장이 하나님의 뜻을 묻는 데 사용되엇다.
이것은 제사장이 하나님의 뜻을 묻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’에봇‘과 함께
제사장의 권위를 상징했던 것으로 보인다(스 2:63; 느 7:65).
우림과 둠밈은 초기 왕정시대까지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었으며(삼상 28:6)
다윗 이후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면서부터 우림과 둠밈으로 하나님의 뜻을 묻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.
'성경 족보와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약의 칠대 절기 (0) | 2022.10.11 |
---|---|
이스라엘 12지파 비교 연구 (0) | 2022.10.11 |
그림으로 보는 성막 이해 (0) | 2022.10.11 |
천지창조와 창세기의 시작들 (0) | 2022.10.11 |
추수 감사절의 유래와 의미 (0) | 2022.10.11 |